티스토리 뷰

정의

다양한 그림이나 문자로 끗수를 나타낸 종이패를 사용하여 승부를 겨루는 전통적인 실내 놀이이다.

투전패
투전패

내용

투전은 여러 종류의 그림과 문자가 새겨진 종이로 만든 패를 가지고 놀이하는 전통적인 한국의 실내 게임이다. 역사적으로 투전은 조선시대 기록에 자주 등장하며 ‘鬪錢’, ‘鬪牋’, ‘投牋’ 등 여러 명칭으로 불렸다. 또한 종이 재질의 특성 때문에 ‘지패(紙牌)’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 중국에서도 비슷한 형태의 놀이가 있었으며, 중국에서는 ‘투패(鬪牌)’, ‘투엽(鬪葉)’이라 칭했다.

투전패는 두껍게 처리한 종이에 기름을 발라 내구성을 높였으며, 길이는 보통 10~20㎝ 내외로 손가락 너비만큼 좁게 제작된다. 패의 한쪽 면에는 다양한 동물 문양과 글자를 넣어 끗수를 표시하였다. 패의 숫자는 25장, 40장, 50장, 60장, 80장 등 다양했지만 일반적으로는 40장이 가장 널리 쓰였다.

투전의 유래는 숙종 시대의 역관 장현(張炫)이 중국의 마조패(馬弔牌)를 개량한 것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투전의 놀이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돌려대기'가 있으며, 참가자들은 패를 나누어 세 장으로 10, 20, 30을 만들고 남은 두 장의 숫자를 합산하여 승부를 결정한다. 숫자가 같은 경우를 ‘땡’이라 하며, ‘장땡’(10 숫자 두 장)이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한다. 그 밖에도 ‘가구’, ‘동동이’, ‘우등뽑기’ 등의 다양한 방식이 있으며 각각의 방법 안에서도 세부적인 규칙들이 존재한다.

투전은 규칙이 간단하여 쉽게 보급될 수 있었고, 패를 만드는 과정도 간단하여 대중들에게 급속히 확산되었다. 조선 후기에는 상류층에서부터 서민층까지 빠르게 확산되어 사회적 문제가 되기도 했다. 또한 화폐의 사용 증가와 시장 경제의 활성화도 투전의 유행을 가속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전문적인 투전꾼들이 등장하면서 도박성이 심화되어 가정의 파탄을 초래하는 폐단으로 인식되었으며, 결국 화투가 등장하면서 쇠퇴하였다.

특징 및 의의

투전은 전통 사회의 민속문화와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으며, 탈춤이나 농악 등 다양한 민속 공연에도 자주 등장하였다. 이는 투전이 지닌 사회적 영향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놀이의 형태로서 전통문화와 상호작용한 예라 할 수 있다. 현대에는 도박적 이미지가 강하지만, 원래는 승부와 오락을 목적으로 하는 놀이였다. 앞으로 투전이 가진 전통적 가치를 재조명하여 건전한 놀이로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댓글